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외환은행, 미국 재진출 노린다

외환은행의 미국 재진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 하나금융그룹과 론스타의 외환은행 인수 협상이 마무리되면서 과거 뉴욕 등지에서 영업을 했던 외환은행이 재진출을 꾀할 전망이다.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은 론 그레이켄 론스타 회장을 만나 외환은행 주식매매 계약서에 서명하고 귀국한 직후인 4일 “외환은행이 론스타에 인수된 뒤 거점을 잃었던 미국 시장에 다시 진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회장은 또 하나·외환은행을 독립적 경영체제로 운영해 가겠다는 기존 방침도 재확인했다. 외환은행은 1967년에 미국에 첫 진출했다. 플러싱·맨해튼 등 뉴욕과 LA 등지에 지점망을 갖고 있었지만 2003년 8월 론스타가 외환은행을 인수하면서 폐쇄된 후 2004년 5월부터 기업 대출과 수출입업무를 담당하는 외환 파이낸셜만 뉴욕과 LA에 있다. 뉴욕에는 송금만 처리하는 미주외환송금센터도 운영 중이다. 은행권에 따르면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가 금융위원회에서 승인되면 하나금융은 해외 시장 개척에도 가속도를 낼 수 있다. 하나은행의 해외 법인과 지점 수가 한국 4대 은행 가운데 가장 적지만 이번 인수를 통해 해외 영업에서도 한 단계 도약하게 될 전망이다. 하나금융은 외환은행을 인수하면 지난 3분기 말 기준으로 총자산이 333조원에 이른다. 하나은행은 현재 미국 내 뉴욕지점이 유일하다. 2002년 12월 서울은행을 인수한 후 진출한 하나은행은 예금·송금·기업 대출 등 기업 금융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만약 한국에서 네 번째 규모의 대형 금융기관인 하나은행의 뒷받침 아래 외환은행이 다시 미국에 진출하면 한인 은행권에는 또 다시 지각변동이 일어날 전망이다. 월스트릿저널 1일자 보도에 따르면 하나금융은 주당 1만1900원에 론스타가 보유한 외환은행 주식 51.02% 전부를 인수하는 데 합의했다. 양쪽이 7월 합의한 인수가격은 주당 1만3390원씩 총 4조4059억원이었다. 따라서 하나은행은 한 주당 11% 수준인 1490원을 깎아 전체 가격은 3조9156억원으로 4903억원 낮아졌다. 최희숙 기자 hs_ny@koreadaily.com

2011-12-05

하나금융, 미주 진출 나서나…김승유 회장 "해외은행 인수 계획돼 있다"

한국 하나금융지주의 김승유 회장(사진)이 미국 은행 인수 의지를 또 한차례 거론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 추진중인 외환은행의 인수 가능성이 크게 낮아진 상황에서 나온 발언이다. 김 회장은 한국 금융위원회가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 승인 심사를 보류하겠다는 발표를 한 다음 날인 지난 13일(한국 시간) 긴급 이사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외환은행 인수 뒤 미주 등의 해외은행을 인수할 계획이었다. (중략) 해외은행 인수는 외환은행 건과 무관하게 계획돼 있다"고 말했다. 은행권에서는 김 회장이 언급한 '해외은행'이 미주 한인은행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그간 2차례나 미주 한인 은행 인수에 쓴 잔을 마신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하나금융지주는 지난 2008년 감독 당국 승인이 안나와 커먼웰스비즈니스은행 인수가 무산된 아픈 기억을 갖고 있다. 또 그 전인 2006년에는 지금은 폐쇄된 아이비은행 인수에 나섰다가 이 은행이 감독국 감사 결과로 행정제재를 받아 무산되기도 했다. 걸림돌도 사라졌다. 커먼웰스 인수 무산의 직접적 이유였던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이 하나금융의 지분 전량을 올 초 매각했기 때문이다. 또 한번의 변환점을 맞은 하나금융의 미주 진출 의지가 어떤 식으로 표출될 지 결과가 주목된다. 염승은 기자 rayeom@koreadaily.com

2011-05-17

[류기열의 부동산 스토리] 이중 국적과 론스타

오는 1월 1일부터 한국에서는 65세 이상의 외국 국적 교포와 우수 해외 인재들에게 이중 국적을 허용할 것이라는 보도가 관심을 끌었다. 어떻게 보면 한국만큼 다른 나라의 시각에 신경을 쓰는 나라도 없는 듯하다. 국내에서 개최되는 국제 행사가 있으면 해외에서 어떻게 보도를 하느냐에 심하게 얘기하면 목숨을 걸다시피 한다. 미국에서는 한 줄 실릴까 말까하는 오바마 대통령의 한국에 대한 언급이 주요 언론 사이트의 머리기사로 실리는 것이 흔한 일일 정도로 말이다. 그러나 또 다른 면에서 한국은 극단적인 국수주의이기도 하다. 정부에서 관광사업의 일환으로 인천에 차이나타운을 조성하기 전까지 한국은 중국인들이 살면서 차이나타운이 없는 유일한 나라였다고 한다. 이렇게 극단적으로 상충하는 외국에 대한 한국의 이중적인 태도는 이중국적을 허용하면서도 외국 자본에 대한 무조건적인 혐오라는 모순으로 나타나게 된다. 지난 주 한국의 한 신문에는 사모펀드인 론스타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 97년 외환 위기 때 한국에 진출한 해외 자본 중에서 론스타는 가장 탈도 많고 말도 많았던 회사이다. 당시 한국 지사장의 탈세 혐의부터 외환은행 인수와 연관되어 관계 공무원의 특혜 의혹까지 론스타가 한국에서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아마 범죄 집단에서 그다지 벗어나지 않은 듯 하다. 이번 기사 역시 그 시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데 제목 부터가 "론스타의 2010년은… M&A 혼란 속 제 몫 챙겨 '한국 굿바이'"라는 충분히 부정적이고 자극적인데서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론스타가 2003년 외환은행 지분을 인수한 후 지금까지 7년만에 투자 원금의 두 배가 넘는 이익을 챙길 것이라고 하면서 감독 당국이 제대로 감시를 하지 않아서 론스타가 그만큼의 이익을 챙길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는 투자 자본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익 창출이라는 대전제를 전혀 고려치 않고 있는 것 같다. 또 이 기사에 나와 있는 수치가 모두 정확하다는 전제하에 7년간의 연간 수익률을 IRR로 따져보면 연 23% 정도로 사모펀드로서는 나쁘지는 않지만 그렇게 엄청난 수익률이라고 하기도 어려운 정도이다. 오히려 한국의 제2 금융권의 고리에 비해서는 훨씬 이성적인 수치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외국 자본에게 농락당했다고 하는 이 기사가 사실이라면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 한국 금융의 실력이다. 해외 유수한 학교의 MBA 출신들이 넘쳐나는 한국 금융계가 해외 자본이 부당 이익을 올리고도 기사에서 지적한 것처럼 '감독 당국을 조롱하면서 한국 땅을 떠나게 될 것'이라면 론스타를 욕하기 보다는 제대로 감독하지 못한 당국이나 터무니 없는 가격으로 M&A에 임한 하나금융의 업무 능력에 대한 회의를 가져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지만 적어도 내가 알고 있는 한국 금융권에 있는 분들은 그렇게 호락호락 농락당할 정도의 무능한 실력자들은 아니다. 분명히 충분한 경험과 실력을 바탕으로 장.단기적 영향과 투자 효과를 검토한 후에 투자에 임하였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의 세계화는 뉴욕에 비빔밥 식당을 내는데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저변에 깔려 있는 외국인혐오증을 현명하게 극복해 내는데서 이뤄질 것이며 이것이 한국이 진정한 세계의 지도자가 되는 길일 것이다. ▶문의: (310)980-6693

2010-12-29

[경제 에세이] 기업 사냥에 나선 론스타

그랜드 캐년에 가보면 독수리가 발 아래에서 난다. 저 밑에 까마득히 보이는 콜로라도 강 위에서 날고 있지만 그랜드 캐년 정상에서 보면 바로 발 아래에서 독수리가 비행하고 있다. 이 죽은 시체만 뜯어먹고 살아가는 '독수리(Vulture)' 가 드디어 지난 7월 28일 월 스트리트 상공을 날기 시작하였다. 10 년 전 태평양을 건너 아시아 특히 한국의 상공을 휘젓고 다니던 이 벌처가 이제는 다시 홈 그라운드인 미국 금융 심장부 뉴욕의 월스트리트 상공을 날기 시작했다는 얘기다. 그 독수리는 다름 아닌 '론 스타'라는 벌처 펀드를 말한다. 10 년 전 한국의 외환위기로 알짜배기 부동산을 헐값에 집어 삼켰을 뿐 아니라 외환은행까지 삼킨 이 독수리는 일본과 유럽을 거쳐 다시 본토로 돌아올 수 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다름 아닌 서브 프라임 모기지 관련 채권으로 쓰러진 시체들이 월가에 즐비하기 때문이다. 나는 이 독수리가 언제 뉴욕을 날런지 매우 관심이 많았다. 분명 올 때가 됐는데 2008년도 초 에는 소식이 없었다. 그 때까지만 해도 아직 모기지 관련 금융기관들의 숨이 끊어지지 않았다고 판단 한 모양이다. 드디어 하나 둘씩 금융기관들이 쓰러지기 시작하자 이 벌처는 어김없이 찾아 온 것이다. 이 벌처펀드의 주인인 존 그레이켄은 하버드에서 경영대학원(MBA)과정을 마치고 월가의 투자은행인 모건 스탠리에서 부동산 시장분석으로 사회 첫발을 내딛는다. 1990년대 미국의 저축 대부은행들(Savings & Loans)의 부실자산을 인수 정리 엄청난 수익을 올리고 능력을 인정 받게 된다. 90년대 중반 텍사스의 억만장자 로버트바스와 손잡고 '론 스타'라는 벌처 펀드 회사를 설립한다. 이 회사의 명칭은 텍사스주의 주기를 말하며 그것은 바로 '외로운 별'이라는 론스타를 뜻한다. 그러나 그는 더 이상 이 억만장자의 돈이 필요 없었는지 모르지만 스스로 펀드를 만들고 돈을 끌어 들여 부실화된 대출 자산들을 헐값에 사들였다. 담보물건들을 다시 정리 무려 77%라는 경이적인 수익을 투자가들에게 안겨주는 능력을 발휘하자 투자가들은 이 펀드에 돈을 맡기지 못해 안달을 하기 시작했다. 즉 텍사스 억만 장자의 돈은 필요 없게 된 것이다. 바로 이 벌처 펀드가 지난 주 메릴린치가 보유하고 있든 모기지 관련 채권 310억달러를 단돈 62억달러라는 헐값에 사들였다. 다시 말하면 한때 잘 나가던 채권을 1달러당 22센트에 사들인 셈이다. 메릴린치 은행 입장에서는 정말 그 가격에 팔고 싶지 않았겠지만 주주들의 성화에 시달렸을 것이다. 빨리 부실채권을 털어내고 새로 자본을 투입받아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라는 주주들의 성화에 견딜 재간이 없었던 것이다. '불난 집에 부채질 한다'는 한국 속담이 있다. 세상에서 가장 얄미운 사람은 집에 불이나 모든 가산을 탕진하고 실의에 빠진 사람에게 찾아와 불에 그을린 자개장과 식탁을 팔라고 재촉하는 사람이다. 그것도 헐값에. 바로 이러한 일을 금융시장에서 전문적으로 하는 회사가 '벌처 펀드'이다. 존 그레이 켄은 1995년 시작된 아시아의 통화위기 시절 쓰러져 죽어간 수많은 시체들을 삼켜 많은 수익을 올린 52세의 중년 금융전문가이다. 일본의 은행들과 골프장까지 사들여 재미를 본 그는 한국의 외환은행을 삼키다가 목에 가시가 걸렸다. 그러나 많은 월가의 분석가들은 이제 막 시작된 부실자산 판매가 가속화되리라 전망한다. 즉 메릴린치 다음으로 또 다른 은행들이 론스타에게 '부실자산'을 헐값에 팔기 시작할 것이라는 얘기다. 그에게는 다시 황금시장이 펼쳐진 셈이다. 여기서 우리는 조심스럽게 전망을 해 볼 수 있다. 즉 서브 프라임 모기지로 촉발된 미국의 금융위기가 이제는 바닥까지 오지 않았나 하는 점이다. 그 이유는 가장 마지막에 출현하는 벌처가 나타나 시체를 정리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보스턴 사나이 존 그레이켄은 그의 식성답게 산 고기만 먹고사는 또 다른 독수리인 이글이 되기를 포기하고 런던에 살고 있다. 1999년 미국 시민권을 스스로 포기하고 런던에 살고 있다는 얘기다. 역시 그는 죽은 고기만 뜯어먹는 '벌처' 펀드의 대가 인가 보다. 우리는 '전설적인 투자가' 워렌 버핏 그리고 헤지펀드의 대부 이며 금융계 황제인 조지 소로소와 함께 이 사람을 기억해야 한다. 어쩌면 그는 새로운 시장의 영역을 개척한 사람으로 평가 받을지 모른다.

2008-08-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